** 본 내용은 본초학을 공부하면서 암기하기 위한 학습 도구로 만든 것입니다.
본초 분류에 대해서는 조금씩 의견이 다를 수가 있기 때문에 참고 바랍니다.
한의학에서 사용되는 약재들을 통틀어 '본초(本草)' 라 한다.
보통 한약은 쓰다고만 생각하기 쉬운데,
사실 약재들마다 고유의 성질과 맛이 있다.
약재들 중에서는 약성이 강하지 않고 향미가 독특하여 음식에 쓰이는 것들도 많다.
오늘은 본초를 분류해 놓은 것을 써보고자 한다.
본초 공부를 위한 분류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그 중에서도 효능을 기준으로 하여 구분하여 놓으면
활용면에서 기억하기가 쉽다.
여기서 주의할 것은 어떤 약재가
그 분류된 카테고리 안의 약성만 가지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보통 그 약재가 지닌 여러 효능 중에 가장 핵심이 되는 것을 분류기준으로 한다.
예를 들어 이기약(理氣藥:기를 다스리는 약)에 분류되었으나
활혈거어약(活血祛瘀藥:혈액순환을 돕고 어혈을 없에주는 약)의
효능이 있을 수 있는 것이다.
가끔씩 이 포스팅을 읽으면서 내가 알고있는 약재가 어디에 속하는지
기억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신온해표약 (辛溫解表藥)
계지 桂枝
자소 紫蘇
형개 荊芥
방풍 防風
고본 藁本
신이 辛荑
세신 細辛
향유 香薷
총백 蔥白
신량해표약 (辛凉解表藥)
- 박하 薄荷
- 우방자 牛蒡子
- 상엽 桑葉
- 국화 菊花
- 갈근 葛根
- 시호 柴胡
- 승마 升麻
- 두시 豆豉 (담두시)
- 선태 蟬蛻
청열사화약 (淸熱瀉火藥)
석고 石膏
지모 知母
노근 蘆根
천화분 天花粉
죽엽 竹葉
담죽엽 淡竹葉
치자 梔子
하고초 夏枯草
청열조습약 (淸熱燥濕藥)
황금 黃芩
황련 黃連
황백 黃柏
용담초 龍膽草
고삼 苦蔘
청열양혈약 (淸熱凉血藥)
생지황 生地黃
현삼 玄參
목단피
적작약 赤芍藥
자초 紫草
자근
청열해독약 (淸熱解毒藥)
금은화 金銀花
연교 連翹
포공영 蒲公英
자화지정 紫花之丁
대청엽 大靑葉
토복령 土茯苓
어성초 魚腥草
삼백초 三白草
마치현 馬齒莧
백두옹 白頭翁
패장초 敗醬草
백화사설초 白化蛇舌草
야국 野菊
청허열약 (淸虛熱藥)
청호 靑蒿
지골피 地骨皮
'건강과 치유 > Herb&Medicin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페퍼민트 Peppermint : 효능과 주의점 (0) | 2025.02.24 |
---|---|
본초를 외우자(2) - 거풍습약, 방향화습약, 소식약 (0) | 2023.02.12 |
열을 내려주는 약초, 조릿대 - 조릿대차로 즐기자. (2) | 2023.02.08 |
진피의 약효성분 Bioactive compounds of Citrus peel (0) | 2023.01.16 |
진피(陳皮) 혹은 귤피(橘皮)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3.01.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