찻잎이 함유한 생리활성 성분중에 가장 눈에 띠는 것은 카테킨(catechin)이다.
건조된 찻잎 중에 10~18%나 함유되어 있으며 차의 풍미와 효능에서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한다.
카테킨 성분은 녹차가 떫은 맛을 가지는 이유이지만,
이러한 떫은 맛이 가지는 효능이 매우 크기 때문에 어떤 효능을 가지는지 알게 되면 녹차의 떫은 맛도 더이상 나쁘지 않게 느끼며 녹차를 즐길 수 있게 될 것이다.
[심혈관 질환 예방]
활성산소는 혈관 속의 지방을 공격하여 뇌졸중이나 심근경색 같은 질병을 일으키는데,
카테킨은 항산화를 통해
1)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 상승을 억제하고,
2) LDL 산화를 억제하고,
3) 혈소판의 응집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면서
동맥경화와 같은 심혈관 질환을 예방한다.
[항암작용]
암세포는 정상세포를 공격하여 암세포로 전이시키거나 서로 자극하여 더 큰 암세포로 성장한다.
카테킨 성분 중에 특히 EGCG(Epigallocatechin-3-gallate)는
사람의 암세포를 정상세포로 전이시키는 효소와 결합하여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고 암세포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암세포의 apoptosis(자가세포사)를 유도하여 발암성 인자의 활성을 저지시킨다.
카테킨의 항암작용은 암세포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다.
정상세포의 돌연변이를 방지하고, 암을 발생시키는 여러 가지 생물활성을 억제하므로 치료 및 예방에 모두 적용 가능하다.
[노화예방]
활성산소가 많아지게 되면 피부 콜라겐이 공격받아 주름이 생기게 되고
멜라닌 세포가 공격받아 기미와 검버섯이 생기는 등의 노화 현상이 일어난다.
이 때 카테킨은 항산화 작용을 통해 과산화 지질의 생성을 억제하여 노화를 지연시키는 효능이 있다.
[혈압 상승 억제]
혈압이 상승하는 원인은
가족력, 음주, 흡연, 운동부족, 비만, 짜게먹는 습관, 스트레스 등 여러 가지가 있겠으나,
직접적인 원인은 혈관수축작용을 하는 ‘안지오텐신 II’의 작용 때문이다.
찻잎의 카테킨 성분은 ‘안지오텐신 I’에서 ‘안지오텐신 II’를 생성하는 ACE 효소의 활성을 저해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 실험적으로 밝혀졌다.
특히 카테킨 중에 EGCG의 ACE효소 활성 저해가 강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카테킨을 섭취하였을 때 혈압 상승 억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당뇨병 예방]
차에 들어있는 카테킨은 타액에 들어있는 아밀라아제의 활성을 억제한다.
당뇨병의 원인중 하나가 탄수화물의 과다 섭취이며
아밀라아제는 고분자 탄수화물이 단당류로 분해되는 과정의 한 부분을 담당하는데,
아밀라아제의 활성 억제로 인하여 체내 당분 흡수가 느려지고 급격한 혈당 상승이 억제된다.
카테킨은 아밀라아제 뿐 아니라 수크로오스 분해 효소인 수크라아제의 활성도 저해한다.
차 카테킨 중에서는 에스테르형인 ECG와 EGCG에서 더 강한 효소활성 저해작용을 보이고,
홍차에 포함된 테아플라빈류도 강한 억제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카테킨류를 섭취하였을 때 당뇨병 예방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비만 예방]
차의 카테킨성분은 지방분해를 촉진하여 체내 지방의 축적을 억제한다는 연구가 있다.
특히 카테킨 중에 EGCG가 지방산 산화를 촉진하고 지방세포사멸을 유도함으로써 중성지방 축적을 억제한다는 실험적 증거들이 여러 연구에서 밝혀진 바 있다.
EGCG는 여러 차(tea)종류 중에서도 녹차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
다이어트를 한다면 녹차를 마시는 것이 특히 도움이 될 것이다.
[이 밖에 여러 효능]
카테킨은 신체 내에서 항균 작용, 해독 작용, 소취 작용, 활성산소에 의한 만성피로 해소 등의 유익한 작용들을 한다.
'건강과 치유 > Herb&Medicin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피의 약효성분 Bioactive compounds of Citrus peel (0) | 2023.01.16 |
---|---|
진피(陳皮) 혹은 귤피(橘皮)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3.01.04 |
[알고 먹는 건강차] 결명자. 결명자차. 효능과 부작용 (0) | 2022.12.14 |
녹두를 먹는법: 녹두싹을 틔워보자 (0) | 2022.10.17 |
차(Tea)의 성분들 - 카페인, 카테킨, 테아닌 등 (0) | 2022.08.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