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건강과 치유로 나아가는 배움터, Holistic Healing
728x90

건강과 치유18

진피의 약효성분 Bioactive compounds of Citrus peel 진피(혹은 귤피)의 기원식물과 효능에 대해서는 앞선 글에 정리하였으니 참고 바랍니다. ^^ https://pm-forest.tistory.com/26 진피(陳皮) 혹은 귤피(橘皮)에 대해 알아보자 [진피 陳皮] Citrus Unshiu Peel 또는 Citri Unshius Pericarpium 귤나무 Citrus unshiu Markovich 또는 Citrus reticulata Blanco (운향과 Rutaceae) 의 잘 익은 열매의 껍질이다. 대한민국 약전에 등재되어 있다. 오래 묵혀서 pm-forest.tistory.com [그렇다면 어떤 성분들이 들어 있어서 이러한 효능을 가지는 것일까?] 귤의 껍질에는 정유 성분으로서 limonen, auraptene, auraptin 등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2023. 1. 16.
진피(陳皮) 혹은 귤피(橘皮)에 대해 알아보자 [진피 陳皮] Citrus Unshiu Peel 또는 Citri Unshius Pericarpium 귤나무 Citrus unshiu Markovich 또는 Citrus reticulata Blanco (운향과 Rutaceae) 의 잘 익은 열매의 껍질이다. 대한민국 약전에 등재되어 있다. 오래 묵혀서 약으로 쓰기에 진피(陣 묵을 진, 皮 껍질 피)라 하고, 보통 귤피(橘皮) 혹은 광진피(廣陳皮) 라고도 불리운다. 예전에는 중국 광동성에서 귤을 많이 재배했기 때문에 '광진피'라고 한 것이 아닐까. 우리가 겨울에 즐겨먹는 귤이 바로 온주밀감, Citrus unshiu 이다. 약재로 쓰는 귤은 무농약으로 계약하여 재배된 것을 쓰며 약재 유통시에 유효성분이 일정 이상 검출되어야 하며 농약성분이 기준치 이하로 검.. 2023. 1. 4.
[절기음식] 동지. 팥죽. 졀기 節氣 1년의 기운이 변화하는 마디마디를 의미한다. 끊을 절, 기운 기.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49791 절기(節氣)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시령(時令)·절후(節候)라고도 한다. 여기서 황경이란 태양이 춘분(春分)에 지나는 점(춘분점)을 기점으로 하여 황도(黃道)에 따라 움직인 각도를 말하며, 이 황경이 0°일 때를 춘분, 15°일 때를 encykorea.aks.ac.kr 동지는 24절기 중에서 밤이 가장 긴 시간이다. 음이 가장 강한 시간. 그런데, 음이 가장 강하다는 것은, 그래서 양이 가장 약하다는 것은 이제 양기는 바닥을 치고 새로 올라온다는 뜻이기도 하다. 명리학에서 1년의 시작을 보통 봄이 시작되는 입춘을 기준으로 하지만, 실은 음.. 2022. 12. 23.
[치유운동] 108배 - 108배의 의미와 유래 최근 몇 년간 대중적으로 108배가 건강을 위한 운동법으로 많은 관심과 호응을 받고 있다. 특히 체중감량을 원하는 중년 이후의 사람들에게 집에서 할 수 있는 운동으로 108배를 추천하는 경우가 많다. 오프라인에서뿐 아니라 온라인에서도 쉽고 효과적인 대표적인 수련법으로 108배를 추천하는 컨텐츠들이 많이 보인다. 인터넷 유튜브 사이트에서도 108배의 방법들을 소개하는 동영상을 많이 찾아볼 수 있다. 보통은 108배를 운동의 일종으로 간주하고 그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는 글 들을 많이 찾아볼 수 있는데, 108배는 운동이라기보다는 신체활동을 통한 심신 수련법에 더 가깝다. 108배(拜)는 그 이름과 같이 절(拜)하는 행동을 말한다. 절은 고대 인도에서 행해지는 예법 중 상대방의 발을 받들며 자신을 낮추는 예법.. 2022. 12. 20.
식이요법이란 : 식품영양학에서의 식이요법 식이요법의 개념에 대한 글은 여기서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https://pm-forest.tistory.com/20 식이요법의 개념과 필요성 병에 걸려서 아픈 사람을 치료하는데 있어 식이요법은 매우 중요하다. 우리 신체를 유지하는 기본이 바로 먹는 것에 있기 때문이다. 우리가 살기 위해서는 먹어야 한다. 불건강의 상태, 즉 부조 pm-forest.tistory.com [식품영양학에서의 식이요법] 식품영양학에서의 식이요법은 주로 병원에서 이루어진다. 1) 영양판정을 하고, 그 판정을 바탕으로 영양상태 개선을 위한 2) 영양관리를 하며, 3) 영양교육과 상담까지 이루어지는 절차로 진행된다. 이러한 절차적인 매뉴얼은 영양요법이나 식치/식료의 경우에도 정확한 처방과 수행을 위해 필요하기 때문에 참고할 필요가.. 2022. 12. 19.
식이요법의 개념과 필요성 병에 걸려서 아픈 사람을 치료하는데 있어 식이요법은 매우 중요하다. 우리 신체를 유지하는 기본이 바로 먹는 것에 있기 때문이다. 우리가 살기 위해서는 먹어야 한다. 불건강의 상태, 즉 부조화의 상태를 조화롭게 만들고 건강의 상태로 나아가기 위해 병자가 무엇을 어떻게 먹는지 살피고 조절할 필요가 있다. 식이요법이란 말은 음식요법, 영양요법, 식치, 식료와 같은 개념들과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들 사이에 엄격한 구분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미묘한 차이가 있기 때문에 그 개념을 정의해 볼 필요가 있다. 식이요법은 ‘질병의 예방과 치료 혹은 건강의 유지, 증진을 목적으로 대상자의 질병이나 신체 상태에 맞도록 영양관리를 계획하고 실천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전체적인 식사 관리에 관한 좀 더 포괄적인 개념으로 이.. 2022. 12. 19.
728x90